개발 도서 정리/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1) - 협력하는 사람들

말조랑 2022. 12. 9. 22:34

 

객체지향에 대한 설명은 대부분...

 

 

 

" 객체지향이란 실세계를 직접적이고 직관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는 패러다임 "

=>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는 실세계의 투영이며, 객체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에 대한 추상화라는 것.

 

이는 객체지향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적합 O

유연하고 실용적인 관점에서는 적합 X

 

=> 객체에 실제로 대응되는 실세계의 사물을 발견할 확률은 그다지 높지 않다.

 

 


 

객체지향의 목표는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실세계의 모방이라는 개념이 비현실적임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실세계 객체와 소프트웨어 객체 간의 대응 이라는 과거의 유산을 반복적으로 재생산하는 이유는 뭘까?

 

 

⇒ 실세계의 대한 비유가 객체지향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 실세계에 대한 비유는 캡슐화, 자율성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다.

 

⇒ 사람들이 암묵적인 약속을 기반으로 협력하여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객체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다.

 


 

협력하는 사람들

 

 

커피공화국의 아침




아래는 일하기 전 카페에 들려 커피를 주문하는 모습이다.

 

  • 손님은 캐시어에게 아메리카노를 주문한다.
  • 사이즈는 레귤러로 하며, 금액을 결제한다.
  • 캐시어는 주문을 적은 컵을 테이블 위에 둔다.
  • 바리스타는 컵을 하나씩 들어 주문내역대로 커피를 만든다.
  • 바리스타가 만들어진 커피를 주문대 우측 테이블에 올려둔다.
  • 캐시어가 음료 주문이 완료 되었음을 손님에게 알린다.
  • 손님은 음료를 가져간다.

 

 

⇒ 모든 음료 주문은 손님이 커피를 주문하고, 캐시어가 주문을 받고, 바리스타가 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야 완료된다.

 

⇒ 이는 역할, 책임, 협력이라는 사람의 일상 속에 항상 스며들어 있는 세 가지 개념이 한데 어울려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낸 것이다.

 

이 모든 과정에는 손님, 캐시어, 바리스타 사이의 암묵적인 협력 관계가 존재한다.

 

주문하는 손님, 주문을 받는 캐시어, 커피를 제조하는 바리스타 라는 역할 이 존재한다.

 

손님, 캐시어, 바리스타는 협력 과정에서 맡은 바 책임 을 다한다.


⇒ 객체지향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세 가지, 역할, 책임, 협력 이다.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 협력

 

 

사람들은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와 마주치면 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알고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 한다.




  • 커피 주문이라는 협력은 손님이 커피를 줄 것을 캐시어에게 요청 하는 것이다.
  • 캐시어는 주문 내역이 담긴 컵으로 커피 제조를 바리스타에게 요청 한다.

 

 

 

 

 

 

요청을 받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요청에 응답 한다. 응답은 요청의 반대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전달된다.




  • 바리스타는 제조를 완료한 후 캐시어에게 이를 알려주는 것으로 요청에 응답한다.
  • 캐시어는 진동벨을 울려 손님의 주문에 응답한다.

 

 

 

 

⇒ 요청과 응답을 통해 다른 사람과 협력 할 수 있는 능력은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역할과 책임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협력 하는 과정 속에서 특정한 역할을 부여받는다.

 

역할은 특정한 협력 안에서 책임이나 의무를 부여한다.




  • 역할이라는 단어는 의미적으로 책임이라는 개념을 내포한다.
  • 역할과 책임은 협력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데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다.

 

⇒ 이는 중요한 개념 몇가지를 제시한다.

 

1. 여러 사람이 동일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 주문을 받을 수만 있다면 캐시어는 누구여도 상관이 없다.
  • 주문 내역대로 커피를 만들 수만 있다면 바리스타는 누구여도 상관이 없다.

 

2. 역할은 대체가능성을 의미한다.

  • 손님 입장에서는 캐시어는 대체 가능 하다.

 

3. 책임을 수행하는 방법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 요청을 받은 사람은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바리스타마다 다른 방식으로 주문 내역을 처리할 수 있다.
  • 동일한 요청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다형성이라고 한다.

 

4. 한 사람이 동시에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요청을 처리할 능력이 된다면 **

  • 바리스타가 캐시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 캐시어가 바리스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